기맥, 지맥 및 분맥(단맥) 종주/낙남정맥의 5지맥 11

낙남 월아지맥: 준봉산 - 만수산 - 보잠산 - 장군대봉 - 월아산 - 남성

낙남 월아지맥: 낙남정맥 깃대봉(旗臺峰 521.8m)에서 발산재로 600m 정도 내려가면서 나오는 전망대(470m)에서 정맥은 북진하여 발산재로 내려가고 서쪽으로 분기하는 산줄기는 진주시와 고성군의 경계를 따라 萬壽山(456.2m), 나동고개, △441.3m봉(보령산), 보잠산(452.8m), 수리고개, △190.7m봉, 백암고개, 경전선 갈촌굴 도로, 2번국도 애대고개, 진주터널. 將軍台山(△483.5m), 달음산고개(질매재), 月牙山(469.0m), 합자골고개(임도), △185.7m봉, 망고개, 금산면사무소 삼거리, 진주시 금산면 중천리 구암마을 남강변에서 남강물이 되는 약30km의 산줄기. 제1구간: 성구사 – 오봉산 – 국수봉 – 적석산 – 준봉산깃대봉 – 만수산 – 나동고개 산행거리: 13.6k..

낙남금오지맥(백두대간 우듬지): 돌고지재 - 황토재 - 계봉(달구봉) - 금오산 - 깃대봉 - 연대봉

낙남 금오지맥: 낙남정맥 돌고지재를 지나 옥산 직전 546.8m봉(하동군 횡천면, 옥종면, 북천면 경계봉)에서 낙남정맥은 동쪽으로 뻗어 나가고 또 한줄기가 남쪽으로 뻗어내려 △489.2m봉, 황토재, 수구재, △340.4m봉, △476.7m봉, 계봉(달구봉 547.5m), 금오산(金鰲山 △875.1m), 용산 (龍山 151.1m), 두우산(頭牛山 193.2m)을 지나 호남정맥의 꼬리 망덕포구 망덕산을 바라보며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 우암에서 섬진강과 남해 합수점에서 같이 만나 같이 바다로 흘러 드는 약36.7km를 말한다. 금오산에서 깃대봉(△504.2m), 蓮台峯(447m), 남해대교에서 끝나는 약5.5km의 산줄기를 낙남 금오연대 여맥이라고 한다. (신경수님 우리 산줄기 이야기 참조) 박성태 선배님은 ..

낙남 화개지맥: 광려산 - 호암산 - 화개산 - 자양산 - 자골산 - 안국산 - 귀인봉 - 안산 - 용화산

낙남 화개지맥: 낙남정맥 광려산 삿갓봉(△722.6m)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함안군과 마산시의 경계를 따라 x724.7m봉(경희봉), 703.1m봉(상투봉), x623.5m봉(지존봉), 571.0m봉(용수봉), 530m봉(응봉/침대봉), x531m봉(삼자봉), 300.8m(호암산), △화개산(454.3m), 자양산(401.6m), 자골산(x317.3m), △안국산(344.3m),..

낙남 삼신지맥: 삼신봉 - 관음봉 - 거사봉 - 시루봉 - 칠성봉 - 구재봉 - 분지봉

낙남 삼신지맥 (三神枝脈): 낙남정맥 삼신봉(1290.7)에서 낙남정맥은 동쪽 방향인 외삼신봉으로 가고 지맥은 서남방향으로 분기하여 화개면과 청암면의 경계를 따라 서남진한다. 내삼신봉(△1355.1m), 관음봉(1153.2m), 거사봉(1133m), 시루봉(992.9m), 깃대봉(981m), 七星峰(899m), 鳩在峰(△773.7m), 分枝..

낙남 무척지맥: 석룡산 - 무척산 - 비암봉 - 창암나루

낙남 무척지맥(無隻枝脈): 낙남정맥의 끝자락은 기존의 산경표와 박성태 선배의 신산경표가 다르다. 박성태 선배는 그의 저서 신산경표에서 낙남정맥은 용지봉에서 남쪽 불모산으로 방향을 돌려 화산, 굴암산, 보개산을 거쳐 입바위로 가고, 낙남정맥 용지봉(x744m봉)에서 황새봉(x393.1m), ..

낙남 와룡지맥: 무이산 - 수태산 - 향로봉 - 봉암산 - 와룡산 - 각산

낙남 와룡지맥: 낙남정맥의 제일 남쪽지점인 대곡산 (大谷山 △542.9m)에서 3개의 산줄기가 나뉘어진다. 북쪽으로는 낙남정맥이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상리면과 고성읍의 경계를 따라 와룡산으로 연결이 되고 (와룡지맥), 다른 한줄기가 동쪽으로 분기하여 벽방산으로 연결이 된다 (통영지..

낙남 통영지맥: 대곡산 - 철마산 - 곡산 - 벽방산 - 천개산 - 대당산 - 시루봉 - 도덕산 - 발암산 - 망일봉 - 장골산 - 천암산

낙남 통영지맥(統營枝脈): 낙남정맥 대곡산에서 가지를 쳐 철마산(418m), 천왕산(195m), 남산(x108m), 곡산(96.2m), 벽방산(650.3m), 천개산(524.5m), 시루봉(373m), 도덕산(302.2m), 발암산(261m), 망일봉(148.3m), 여항산(x174m), 장골산(x179m), 천암산(257.9m)을 거처 통영시 갈목마을 바닷가에서 맥을 다하는 고성, ..

낙남지맥: 용지봉 – 불모산 – 화산 – 굴암산 - 보배산

낙남지맥: 용지봉 – 2 – 상점령 – 2.5 - 불모산 – 2.2 – 화산 – 2.5 – 굴암산 – 2 – 너더리고개 – 1.8 – 두동고개 – 1.4 – 보배산 – 2.6 – 장고개 – 2 – 성고개 – 2 – 사암리. 도상거리 19Km / 산행시간 8시간 40분 2005년 7월 2 / 3일 날씨: 흐리고 비 낙남정맥 시작을 동신어산에서부터 시작했으므로..

낙남금오지맥(백두대간우듬지): 노량나루터-연대봉-금오산-달구봉-돌고지

백두 대간의 끝을 지리산 천왕봉으로 잡지 않고 영신봉에서 산경표의 낙남정맥을 따라 동진하여 삼신봉.고운동치. 돌고지재를 지나 옥산갈림봉전의 547봉에서 남진하여 2번국도.계봉.금오산.연대봉.노량으로 잡는 사람도 있다. 견해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이 산줄기를 대간의 꼬리 (백두대간 우듬지), 백..

낙남금오지맥2: 고포리 – 두우산 – 강포재 – 금오산

낙남금오지맥2: 고포리 – 1- 두우산 – 2 – 회목마을 – 2 – 강포재 – 1.5 – 금오마을 – 4.7 – 금오산산행거리: 2 (낙남지맥) + 11.2 Km / 산행시간: 1시간 30분 + 6시간 55분 2005년 12월 3/4일 날씨: 흐린 후에 맑음. 지난 7월 3일 잡목으로 미뤄 두었던 낙남지맥 성고개에서 사암 마을까지 2Km 구간을 마무리 하고, 신백두지맥 (백두지맥2) 고포리에서 금오산까지 진행한다. 서울에는 12월3일 저녁부터 눈이 많이 내렸다. 부산에 도착하니 눈 대신 이슬비가 조금씩 내린다. 05:50 성고개 / 20번 도로. 金丹串堡城址 표지석 06:05 189.2m봉 / 국방 연구소 소삼각점 / 산불감시초소. 좌측으로 90도 방향 전환 06:35 철탑. 칡넝쿨이 아직도 많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