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맥, 지맥 및 분맥(단맥) 종주/섬의 주요 산줄기 - 8

섬 진도지맥: 망금산 - 금골산 - 철천산 - 상봉 - 출일봉 - 첨찰산 - 수리봉 - 대학봉 - 봉호산 - 여귀산 - 연대산 - 희여산 - 한복산

청산은1 2017. 2. 14. 21:17

섬 진도지맥 (珍島枝脈): 땅끝기맥 첨봉(352m)에서 분기한 화원지맥이 화원반도의 끝을 향해 서쪽으로 가다가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울돌목으로 가는 짧은 산줄기가 분기한다. 이 산줄기를 따라서 진도대교를 건너면 또다시 산줄기가 이어진다. 이 산줄기는 망금산(x106.5m) 금골산(x198m), 철천산(x162.1m), 용장성지(x262m), 상봉(x266.4m), 출일봉(x228.6m), 첨찰산(x482m), 수리봉(x388.5m), 남산(x243.3m), 대학봉(x190.4m), 봉호산(x193.2m), 여귀산(x458.4m), 연대산(x150.9m), 월출산(x110m), 희여산(269.3m)에 이른 산줄기는 북쪽 지력산으로 가는 산줄기를 내보내고 앞산(x236.5m), 한복산(231.6m)을 거쳐 백미도 앞에 이르러 끝이 난다.

출처: 박성태선배 신산경표

 

 

1구간: 진도대교 – 0.5 - 망금산 – 4.4 - 금골산 – 3.2 - 설매봉 – 3.1 – 철천산 – 1.8 - 상봉 – 0.9 - 출일봉 – 0.6 - 오목재

산행거리: 14.6km           산행시간: 5시간 6

 

2017 2 11            날씨: 흐림.

워낙 멀다 보니 복정을 거치지 않아 양재에서 탑승.

엊그제 남부지방 대설 주의보로 걱정했으나 그리 많지 않아 간만의 심설 산행이다.

 

11:10     진도대교 (18번 도로).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물살이 빠르고 소리가 요란하여 바닷목이 우는 것 같다고 하여 울돌목 (명량 鳴梁). 절개지 옆으로 눈길을 찾아 올라 간다.

11:24     망금산(x112m). 삼각점(화원 314, 2001재설). 진도타워 / 진도녹진 전망대. 명량해전 조형물. 진도대교, 울돌목, 화원지맥, 망금산 등 주변을 둘러 보고 도로 따라 진행.

 

 

 

11:49     18번 진도도로 / 대사길. 우측(남서) 절개지 사면으로 오른다.

11:59     도암산 (122m) 갈림봉. 좌측으로 진행.

12:04     금성재(금성치). 송전탑 공사 후에 복원 작업을 했지만 아직 나무가 작아 표시가 안난다.

12:10     113.4m. 100번 철탑.

12:20     140m. 바위봉. 좌측으로 내려 간다. 금골산 조망

 

 

12:33     금골산 갈림길. 이정표 (금골산정상(마애여래좌상), 해언사 0.6km, 안농마을 1km/ 신동마을 1.7km, 고인돌/정자 0.6km). 좌측으로 정상을 향해 나무 계단으로 오른다.

12:36     금골산(金骨山 x198m). 조망을 즐기고 바위 아래의 마애여래상을 구경하러 내려 간다.

 

 

 

12:41     마애여래좌상. 시원한 조망을 즐기고 바위벽의 가드레일을 잡고 올라 간다.

 

 

 

12:58     금골길 (시멘트포장 도로).  이정표 (금골산 주차장 0.2km, 홍미향한우발효사료공장 0.4km, 연산마을 0.4km, 금골산정상/마애여래좌상 0.8km)

 

 

13:03     x63m. 이동통신 중계탑.

13:06     시멘트포장 도로

13:12     연산. 용인마을 표지석, 버스정류장. 교통표지판 (신기/대사, 해남/금골), 천막아래 선돌에 금줄? 영험한 바위인가?

13:17     18번 도로.

13:39     고두산(高頭山 254m) 갈림봉. 좌측()으로 진행.  

13:44     설매봉(x237m).

13:53     현풍곽공(玄風郭公) 묘지. 폐묘가 되었지만 비석의 글씨는 특이하다.

 

 

14:09     제각산(x222m). 준희님 표지판.

 

 

14:34     챙재(2차선 도로). 주유소, 진도전원교회, 교통표지판 (장흥/해남, 서망/진도읍), 송산리 표지석.

14:51     철천산(x162.1m). 삼각점 미확인. 작은 바위. 우측(남동)으로 내려 간다.

 

 

15:00     안부

15:20     x262m(龍藏山城). 복원한 용장성지 성곽. 성곽이 돌아 가는 곳에서 성곽을 내려선다.

15:34     상봉(x266.4m). 진도기상대, 첨찰산 등 조망

 

15:44     임사재

15:53     출일봉(x228.6m). 삼각점(진도 418, 1986재설). 일반 등산로 떠나 좌측()으로 가시 잡목을 헤치며 내려 간다. 참맥꾼이 아니라면 일반 등산로 따라 고성중학교로 내려 오는 것이 좋겠다.

16:16     오목재(18번 도로). 고군면 / 군내면. 고군고성사방댐입구 표지판 / 진길성당 표지석. 너무 춥고 바람이 불어 대충 끼니를 때우다.

 

 

 

 

2구간: 오목재 – 3 – 첨찰산(485.2m) – 2.3 – 수리봉(389m) – 4.6 - 왕무덤재 – 0.9 – 남산(240.7m) – 3.3 – 영매산(170.2m) – 1.1 – 형제봉(114.9m) – 0.9 - 붉은재

산행거리: 16.1km           산행시간: 5시간 5

 

2017 2 25            날씨:

겨울배추 수확이 한창이다.

 

11:20     오목재(18번 도로). 고군면 / 군내면. 교통표지판 (진도, 장흥/해남).

11:32     진길성당.

11:35     장흥 임씨 사당. 통정대부 장흥임공윤/숙부인 밀양박씨 묘는 벌초를 하지 않아 잡풀만 무성. 희미한 등로 따라 올라 간다.

11:43     x168m. 등산로는 좋다.

12:08     시멘트포장 도로. (첨찰산 갈림길) 바위절개지가 가로 막아 좌측 임도

12:10     임도. 우측 숲으로 진입. 이정표 (첨찰산 정상 0.7km, 수리봉 2km, 공설운동장 5.8km, 넓적바위 0.5km). 점찰산 등산로 - 나무계단 - 바위봉

 

 

 

12:23     첨찰산(x485.2m). 돌탑 봉수대, 정상석 (珍島 尖察山), 이정표 (기상대 0.3km, 등산로종점(두목재) 1.7km, 넓적바위 1.2km, 등산로입구(쌍계사) 3km), 삼각점(진도 21, 1990재설). 주위를 조망하고 되돌아 내려 간다.

 

 

 

 

 

12:35     임도. 체류형 등산로 따라 진행.

12:37     395m (첨찰산 분기봉).  

12:43     제봉 갈림길. 삼면 경계봉 (진도군 고군면, 군내면, 의신면)

12:52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4.5km, 수리봉 0.6km, 첨찰산정상 2.7km, 회동전망대 8.9km).

 

 

13:00     수리봉(x389m).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4km, 첨찰산정상 2.3km, 회동전망대 9.5km). 바위능선을 내려 간다.

 

 

13:03     삼면경계봉 (군내면, 진도읍, 의신면). 남산 분기점까지 진도읍과 의신면 경계 따라 진행.

13:09     시멘트포장 도로.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3.3km, 수리봉 0.6km, 첨찰산정상 2.9km, 회동전망대 10km).

13:16     시멘트포장 도로, 이정표(체류형 등산로 종점부 진도읍 2.3km). 215.1봉의 삼각점을 어뚱한데서 찾다가 갈림길로 돌아와 215.1을 우측으로 등산로 따라 트래버스.

13:22     임도.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2.6km, 동외호수공원 1.3km, 수리봉 1.3km, 첨찰산정상 3.4km, 회동전망대 10.8km).

13:29     성죽재.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2.2km, 수리봉 1.7km, 첨찰산정상 4km, 회동전망대 11.2km). 좌측()으로 진행.

 

 

13:34     x181m. 체류형 등산로 이정표 (공설운동장 1.8km, 동외호수공원 1.3km, 수리봉 2.1km, 첨찰산정상 4.4km, 회동전망대 11.6km). 좌측으로 진행.

13:35     임도. 정자, 운동시설, 이정표 (동외호수공원 0.5km, 회동전망대 13.4km, 공설운동장 0.5km). 계단으로 오른다.

 

 

13:44     x226.3m. 우측()으로 진행.

14:02     x146m. 양미굴. 빙그덤재. 이제부터 등산로는 나빠진다.

14:12     x188.4m

14:19     왕무덤재 (2차선 도로, 주유소). 전남 진도군 진도읍에서 의신면 운림산방으로 넘어가는 고갯길. 고려말 삼별초 왕온 무덤이 근처에 있단다. 고갯마루 백호화실 표지석 옆으로 돌아 오른다.

14:38     남산 갈림봉.

14:43     남산(x243.3m). 지도상 남산. 암봉. 별 특징이 없다 보니 삼감점을 남산으로 부르나 보다.

14:47     240.7m. 넓은 공터에 칡넝쿨이 무성하여 삼각점(진도 301, 2001재설)은 찾지 못하고, 갈림길로 되돌아 나간다.

15:09     x245m. 좌측 남동쪽으로 진행.

15:19     x282.2m. 우측으로 쓰러진 나무를 피해 내려 간다.

15:42     시멘트포장 도로.

16:00     영매산 (x170.2m)

16:14     갈림봉. 우측의 114.9m을 다녀 오기로 한다. 지맥은 좌측으로 가시잡목을 헤치고 내려 가야 한다.

16:20     114.9m. 영진지도 형제봉. 가민 지형도 충재봉. 쉼터 의자도 있지만 잡풀만 무성하다. 소나무가 인상적이다.

16:34     불운재(붉은재, 803번 도로). 의신면 칠전  / 창포.  

 

 

 

3구간: 불운재(803번 도로) – 3.1 - 대학봉(x190.4m) – 2.1 - △봉호산(x 193m) – 1.7 - 옹골산(x 211m) – 2.8 - 여귀산(x 458.7m) – 2.1 - 귀성삼거리

산행거리: 11.7km           산행시간: 4시간 20

 

2017 3 11            날씨: 맑음. 갑자기 온도가 올라가 덥다.

굴포항 입구까지 진행하려 했으나 갑자기 더워진 날씨에 포기하고 귀성 삼거리에서 종료.

 

11:18     불운재(803번 도로). 의신면 칠전  / 창포.  시멘트포장 도로 따라 가다가 묘지를 지나 가시 잡목을 헤치며 치고 오른다.

11:31     x152m. 묵은 묘지. 좌측(남동)으로 진행.

11:36     전망 바위봉

11:42     x200.4m

11:56     x219.7m (대덕산). 준희님 표지판 (220m). 임회면과 의신면 경계 따라 진행.

 

 

12:10     돌박재(2차선 도로). 상미 / 부녀동. 대학봉까지 희미한 묵은 등로가 이어진다

12:20     x180m

12:26     대학봉 (x190.4m). 묘지.

12:38     x170.7m(용수봉). 묘지. 우측()으로 내려 가야 하는데 능선은 보이지 않고 족적도 없다. 철조망 옆으로 잡목을 헤치며 내려 간다.

12:49     매읍재(2차선 도로 - 매실로). 죽청고개. 삼거리. 우측 도로를 따르다가 밭을 통과하여 잡목 숲으로 진행.

13:13     봉호산(193.2m). 삼각점(진도 420, 1986재설).

13:15     x140m. 면계를 떠나 우측(남서)으로 내려 간다.

13:25     무지개재(시멘트포장 도로).

13:37     도로/능선 갈림길. 좌측 능선

13:47     옹골산(x211.5m). 가락국 73세손 김해김공묘. 임도 따라 진행.

13:54     안부. 우측에 임도. 희미한 등산로 따라 올라 간다.

14:09     x317.2m. 전망 바위봉. 여귀산, 오봉산, 남해 조망.

 

 

 

14:18     이정표 (여귀산정상 1230m, 국립국악원 2660m, 임도 560m, 강계해변 5410m).

 

 

14:33     x408m. 전망 바위봉. 여귀산, 오봉산, 남해 조망. 철계단으로 내려 간다.

14:36     밀애실재.

14:44     여귀산(x458.4m). 정상석, 돌탑. 산불감시탑. 계집 녀()자에 귀할 귀()자를 쓰는데, 여자 산신령이 다스리는 산으로, 귀한 여인이 나올 풍수를 지녔다고 전해진다. 산지 모습이 단정하게 차려 입은 선녀가 가야금을 타는 형상이라 하여 옥녀탄금형의 산이란다.  갈림길로 내려와 남서쪽으로 시누대 통과.

 

 

15:11     x389m. 좌측(남서)으로 등산로 따라 내려 간다.

15:20     내리막 능선 갈림길. 일반 등산로에서 좌측()으로 가시잡목을 헤치며 내려 간다.

15:39     귀성 삼거리 (18번 도로). 상만리 / 국악원. 교통표지판 (귀성마을, 팽목/서망). 좌측 남도 국악원에서 뒷풀이 

 

 

4구간: 귀성삼거리 – 3.1 – 굴포항입구 (18번 도로) – 3.8 - 희여산 – 4.2 – 한복산 – 4.1 - 서망항

산행거리: 15.1km           산행시간 5시간 45

 

2017 3 25            날씨: 비후 갬

지난 구간에 굴포항 입구까지 진행하지 않은 것이 아쉽다. 가시잡목으로 속도가 나지 않아 마음만 바쁘다. 귀가 시간에 맞추려 마지막 93.1m봉에서 서망항으로 내려 왔는데 일부는 굳이 바닷가까지 갔다 와서 지체하다.

 

12:03     귀성삼거리. 우측 임도를 따라 가다가 가시잡목을 헤치고 올라 간다.

12:18     x159.3m. 준희님 팻말.

12:28     x130.1m

12:43     x152.7m

12:54     시멘트포장 도로. 가파르게 치고 오른다.

13:04     x182.7m

13:14     18번 도로(상만리 - 굴포).

13:28     연대산(蓮大山 x150.9m). 삼각점(조도 416, 1986재설).

13:45     신동 삼거리 (18번 도로). 교통표지판 (굴포리/신동리, 서망/굴포).

14:09     월출산(x110m).

14:20     암릉구간 시작. 바위가 미끄럽지 않지만 조심조심 오른다. 그래도 조망은 끝내준다.

14:33     희여산(x269.3m). 바위능선. 조망을 즐기며 휴식. 여귀산, 지맥, 다도해 바다 등 조망.

 

 

 

15:04     백동재(연동재). 백동 무궁화동산. 남도석성 표지석. 정자.

15:15     134.7m.

15:30     남두재. 남도 석성삼거리(2차선). 다도해국립공원 입간판.

15:45     176.3m. 삼각점(조도 304, 1986재설)

16:02     앞산(236.5m). 암봉. 돌탑.

 

 

16:15     한복산(漢福山 231.6m). 암봉. 지맥 끝자락, 서망항 등 조망이 뛰어 나다.

 

 

16:45     129.5m. 좌측으로 꺾어 내려 간다.

16:57     서망고개. 이정표 (진도미르길, 6코스 입구 / 서망 ~ 남동)

17:16     173.1m. 동백나무 숲. 우측으로 꺾어 내려 간다.

17:33     93.2m.

17:49     서망항.

18:40     귀경길에 올라 23:30분 복정 도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