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정맥 4구간: 백운역 – 1.7 – 만월산 – 2.2 – 철마산 2.3 – 비루고개 – 1.3 – 거마산 –1.2 – 성주산 – 1.5 – 여우고개 – 4.7 – 제2경인고속도로 – 1.2 – 양지산 – 3.8 – 방죽재
도상거리 19.9Km / 7시간 35분
2004년 3월 14일 날씨: 맑음 / 마누라와 둘이서
경비: 방죽재에서 부천역행 31-7번 버스 (W900 x 2) , 전철비는 정액권으로 계산하여 잘 모름.
6시에 마누라를 깨워서 아침을 먹고 도시락을 싸고 집을 나서니 벌써 7시 20분이다. 건대입구에서 7호선을 타고 온수에서 1호선으로 갈아 타서 백운역에 내리다.
08:50 십정동고개 / 백운공원에서 출발. 경인선철도 육교 끝지점에서 왼쪽으로 계단길을 오른다.
정양사. 경인로 / 46번 국도 / 원통이 고개 (원통현) - 횡단보도 - 팬더아파트 좌측으로 오른다.
09:25 인천시 지적 삼각점을 지나 만월산(△187m) / 삼각점 (인천 307, 1994 재설). 만월정 (팔각정). 산의 형상이 기러기가 나는 형상이라 하여 주안산 이라고도 불렸다.
09:40 156m봉 / 산불감시초소와 KBS 송신탑.
이정표 - 부평농장 쪽으로 – 구산로 (2차선 도로) - SK 주유소 삼거리 - 만월산터널 건설현장 사무소 뒤 봉우리 – 부평공설 공동묘지 외곽도로 – 쉼터직전 능선분기점에서 오른쪽으로 진행.
10:10 광학산 (202m) / 세 번째 철마산 표지목 (송전탑 직전 좌측 봉우리) / 만수산.
10:35 용봉산 (170m봉) 직전 군부대에서 우측으로 – 능선 위의 가운데 철탑 - 보세이 고개.
실수: 직진 – 헬기장 / 산불 초소 – 평창 이씨 가족묘비. 도로를 따라 장수 나들목쪽으로 진행.
11:00 비루고개 (별고개 / 별류현 / 星峴)./ 서울외곽순환도로 장수나들목 고가 아래 불당굴길 – 좌측 능선.
11:20 5226부대 유격산 진지.
11:35 205.6m봉 (삼각점 안양 301, 1994재설).
거마산 (210m) 표지목 - 와우 고개 (군부대 / 아파트 / 6번 소신여객 종점) – 오른쪽 산길로 마루금에 접근 - 왼쪽으로 철조망을 끼고 성주산 정상까지 길게 이어나간다.
12:10 성주산 / 와우산 (217m). 소가 앉아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직진하면 소래산이고 정맥은 왼쪽으로 – 이정표 (소래산, 심곡본동, 하우고개) - 하우고개 구름다리 (12:20) - 통나무계단 – 이정표 (산불감시탑, 여우고개)에서 오른쪽으로 150도 정도 꺾어서 한미농장쪽으로 진행.
12:45 여우고개 (如牛峴). 동물농장 출입문에서 오른쪽으로 - 농장 철조망 – 암봉 - 5분 정도 진행하다가 고도가 120m 정도 되는 능선분기점에서 왼쪽으로 - 소사 제2배수지를 통과 – 소사고등학교.
13:00 소사로 (6차선 도로). 횡단보도 - 이조갈비 앞마당을 통과하며 우측능선.
13:30 102m봉. 점심 식사. 능선 분기점에서 왼쪽으로 녹색의 철조망을 따라 송전탑을 향해 진행.
14:20 2차선 도로. 광명시와 과림동을 가리키는 283번 도로 교통표지판.
33번 송전탑 - 81.3m (삼각점) - 11번 철탑을 통과 / 좌측으로 제2경인고속도로가 보인다.
14:45 제2경인고속도로 굴다리 통과. 개 사육장 위로 송전탑이 있는 정맥능선을 향해 절개지를 오른다.
15:20 양지산 (151m) / 양지정 (팔각정). 잠시 휴식.
15:30 146봉 (삼각점 안양 408, 1990재설).
군부대 철조망 - 초병들이 민간인 절대 통행불가지점이라며 제지한다. 철조망을 따르다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갓길 - 방음벽이 끝나면서 왼쪽으로 능선에 붙는다. 지긋지긋한 철조망이 또 나타난다.
16:00 제2291부대 정문 / 397번 지방도 / 2차선 포장도로. 사격장을 통과 - 왼쪽으로 다시 군부대 철조망을 끼고 이어나가다가 86봉을 넘고 다시 봉우리를 오르기 직전 오른쪽으로 내려선다.
16:25 방죽재 / 42번 국도 / 방죽머리 버스 정유장. 31-7번 버스를 타고 소사역에서 전철로 집에 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