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맥, 지맥 및 분맥(단맥) 종주/백두대간의 2기맥 36지맥

진양기맥 (하): 덕갈산 - 망설봉 - 망실봉 - 기백산 - 금원산 - 월봉산 - 남덕유산

청산은1 2014. 2. 16. 14:50

 

9구간: 수영덤이(1034번 도로) – 0.8 – 덕갈산 – 2.8 - 춘전치(春田峙) - 2.6 - 692m(사별산) - 1.4 - 669.2m(기선봉) - 2.4 - 683m - 1.7 – 숙지령 - 0.8 - 망설봉(619.5m) – 2 – 관동고개 – 0.6 – 관동마을 회관

산행거리: 15.2km           산행시간: 4시간 24

 

2014 3 1             날씨: 흐리고 이슬비

이슬비가 간간이 내리고 짙은 운무로 조망은 없었으나 소나무 숲이 이어져 나름 산림욕 산행으로 만족하다.

 

10:30     수영덤이(550m). 마루금은 바로 앞 봉우리에서 좌측으로 꺾어 내려 와야 하나, 수영덤이 도로에서 좌측 아래로 보이는 거창16km 표지판이 있는 곳으로 내려 간다.

10:33     1034번 도로. 절개지에서 좌측으로 돌아 능선에 붙는다. 좌측은 거창군 남상면, 우측은 거창군 신원면의 접경지역이다

10:45     덕갈산(德葛山 669.2m). 삼각점(거창 462, 1981재설). 좌측으로 꺾어 진행.

 

 

10:57     독도주의 구간. 좌측으로 꺾어 가야 하는데 잡목이 많아 길 찾기가 쉽지 않다.

11:03     헬기장. 매봉, 갈전산, 감악산, 가야산 등이 조망된다는데 구름속에 있으니 장님 산행이다.

11:07     670m(식기봉). 우측으로 꺾어 내려 간다.

 

11:18     묘지를 지나 다랭이 논 좌측으로 내려 서면 안부. 올가미에 걸려 넘어 질 뻔하다.  독도 주의 구간.

11:26     88고속도로 춘전치 (春田峙). 도로 확장 공사 중이다. 깊게 파 헤쳐 건널 수 없어 지하통로(암거)를 이용하기 위해 우측으로 진행.

 

11:30     88고속도로 암거. 좌측으로 올라 간다.

11:35     1084번 지방도로. 절개지 우측으로 돌아 올라 가파르게 치고 오른다

11:47     529m / 이정표(춘전치 0.7km, 사별산 1.7km). 우측에 외촌지(춘전지) 저수지 조망.

12:03     635m. 물 한 모금 마시고 우측으로 꺾어 진행.

12:05     이정표(춘전치 1.7km, 숙지령 6.2km)

12:05     이정표(춘전치 1.9km, 사별산 0.5km)

12:18     692m(사별산). 이정표(춘전치 2.4km, 숙지령 5.7km/기선봉 1.3km). 큰 바위. 직진은 골무산(552.9m) 방향, 우측이 지맥길. 춘전치에서 시작한 대원을 만나 간식을 먹고 출발.

 

12:32     남재고개 / 이정표 (기선봉 0.7km. 사별산 0.6km). 우측에 임도와 가족 묘지가 있다.

12:41     이정표(사별산 1.1km, 기선봉 0.7km, 임도 1.4km). 호젓한 소나무 숲 길이 이어 진다.

12:45     669.2m (기선봉). 삼각점(거창 444, 1981재설) / 이정표(숙지령 4.2km, 사별산 1.3km). 헬리포트.

13:22     660m.  NO. 016 측량점(?). 우측으로 꺾어 진행.

13:23     고인돌 바위.

 

13:24     이정표(기선봉 2.3km, 숙지령 1.9km)

13:26     683m / 이정표(기선봉 2.4km, 숙지령 1.8km). 우측으로 진행.

 

13:27     이정표(기선봉 2.5km, 숙지령 1.7km).

13:32     이정표(기선봉 2.8km, 숙지령 1.4km).

13:36     이정표(기선봉 3.0km, 숙지령 1.2km).

13:42     이정표(기선봉 3.1km, 숙지령 0.9km).

13:38     636m. 좌측으로 가파르게 떨어 진다.

13:54     숙지령. 이정표(망실봉 1.2km, 기선봉 4.4km, 신기마을 1.5km). 에너지를 보충하고 오른다. 급경사 지역에는 나무 계단도 설치되어 있다.

 

14:16     망설봉(望雪峰 / 德雨山 619.5m). 삼각점(거창 308, 1981재설). 묘지.

 

14:22     이정표 (수지령 1.2km, 둔동마을 3.0km, 둔동마을 1.9km)

 

14:22     망설봉 표지석(561.8m). 일부 지도에 숙패봉으로 표기. 짙은 운무로 조망은 없다.

 

14:47     관동고개 / 관술령 (시멘트 포장 도로) / 이정표 (망실봉 4.8km, 망설봉 1.8km). 마루금에 논이 있다. 좌측으로 하산.

 

14:54     관동마을 회관. 우측으로 300여 미터 올라 간 곳에 버스 주차.

16:30     제법 비가 내려 정리하고 후미를 태우고 출발.

20:13     양재 도착. 고속터미널에서 마누라를 만나 성모병원 문상

 

 

 

 

10구간: 관동마을 – 0.7 - 관동고개 – 0.8 - 관술봉(606.1m) - 2.7 – 새재 – 1.3 - 망실봉(681.2m) -1.2 - 공전고개(구슬재) - 1.7 – 개목고개 – 2.4 – 솔고개 – 2.4 – 바래기재 – 0.4 – 바래기재 휴게소

산행거리: 13.6km           산행시간: 3시간 47

 

2014 3 15            날씨: 맑음

가시잡목 구간이라 걱정했는데 망실봉까지 등산로 정비가 잘 되어 있고 이정표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오랜만에 맑은 날씨에 조망은 좋았으나 연무로 선명하지 않다.

구간거리도 짧은데 우려했던 가시잡목도 겨울철이라 쉽게 통과하여 일찍 끝내고 일찍 귀가하다.

 

10:10     관동마을

10:27     관동고개 / 관술령 (시멘트 포장도로) / 이정표 (망실봉 4.8km, 망설봉 1.8km). 마루금이 애매한 곳이다. 논 좌측으로 올라 간다.

10:40     이정표(관동(함양) 1.0km, 망실봉 4.1km, 둔동(거창) 2.8km). 좌측으로 꺾어 오른다.

10:41     611m. 삼면 경계봉.

10:43     관술봉(官述峰 606.1m) / 삼각점(거창 439, 1981재설). 지도상에 관술령으로 표기.

 

10:45     송전탑(#57). 소나무 숲의 편안한 길이 이어 진다.

10:54     웅곡고개. 이정표(웅곡(곰실) 마을 1.5km, 망실봉 3.1km, 관술령 1.0km).

 

 

11:12     583m. 우측으로 진행.

11:18     새재. 이정표(덕산마을 0.8km, 망실봉 1.3km, 관술령 2.8km).

11:27     624m / 헬리포트.

11:35     이정표(둔동 6.7km, 망실봉 0.3km, 덕천서원 1.8km)

11:36     660m봉 활공장. 조망은 일망무제이나 운무로 깨끗하지 않다. 서쪽으로 멀리 황석산, 거망산, 백운산, 북쪽으로 기백산, 북동쪽으로 거창시내, 양각지맥의 박유산, 보해산, 금귀산 등이 펼쳐지고, 그 뒤로 숙성산, 미녀봉, 오도산, 두무산, 비계산, 의상봉으로 이어지는 수도지맥 능선이 뿌옇게 조망 

 

 

 

 

11:38     활공장 위에 새로운 정상석이 있다.

 

11:40     망실봉(망덕산, 681.2m). 정상 표지석과 삼각점(거창 307, 1981재설). 이정표(바래기재 8.0km, 둔동 7.0km, 운정 2.2km, 주차장 3.0km). 역시 조망이 좋다. 길주의. 일반 등산로를 버리고 좌측으로 내려 가야 한다. 잡목 구간이다.

 

11:57     559m. 좌측으로 꺾어 내려 간다.

12:02     공전고개(구슬재). 시멘트 포장도로. 계단도 있네.

 

12:11     이정표(구슬재 0.5km, 개목고개 1.3km). 뒤돌아 지나온 망실봉 조망.

 

12:15     549m. 좌측으로 진행. 좌측으로 초동 소류지 조망. 낙엽송 조림지 통과. 밤나무 단지 / 이동통신 중계탑을 지나면 개목고개다.

12:29     개목고개 (황마로, 2차선 도로). 이정표(망실봉 3.1km, 바래기재 4.9km). 좌측() 함양군 안의면 초동리 / 우측() 거창군 마리면 대동리. 좌측 묘지 위로 능선에 진입하여 두릅 밭 통과. 이어서 잘 정리된 밭 가장 자리로 통과 (농부에 미안하다).

 

12:57     임도 / 이정표(개목고개 1.1km, 바래기재 3.9km)

13:04     586m (안시산). 기백산 조망.

13:13     박동고개.

13:19     솔고개. 나무 다리. 함양군 안의면 귀곡리와 거창군 마리면 대동리을 잇는 고개. 칡넝쿨과 가시덤불이 심한 지역인데 겨울이라 다행이다.

 

13:32     546m (청태산). 이정표 (솔고개 0.5km, 바래기재 1.9km). 여기까지는 가시덤불과 잡목이 성가신 구간이다. 기백산 조망. 우측으로 꺾어 진행.

13:42     508m. 바래기재가 앞에 보이나 우측으로 꺾어 내려 간다.

13:49     이정표(바래기재 1.8km, 개목고개 3.2km). 거리가 전혀 맞지 않네. 황석산, 기백산 조망.

 

 

 

13:57     이정표(개목고개 4.5km, 망실봉 7.8km)

14:03     바래기재 (3번 거함대로). 함양군 안의면과 거창군 마리면 경계. 마을 표지석(행복한 마리). 좌측으로 200m지점의 굴다리로 도로 횡단.

 

14:07     바래기재 휴게소 / 기백산 망실봉 등산로 안내도. 암소 한마리 식당.

 

15:37     여유롭게 식사하고 일부는 냉이도 캐고 출발.

18:50     복정 도착.

 

 

 

 

11구간: 월성리 내계5– 2.1 - 수망령 – 2.2 – 금원산 – 3.7 – 기백산 – 4 – 819– 3.6 – 바래기재 - 0.5 – 고가 밑

산행거리: 16.2km           산행시간: 4시간 19.

 

2014 3 29            날씨: 흐리고 비

비 소식에 회원이 반 이상 줄었다. 산꾼이 날씨에 연연하다니

안개 비가 조금 내리고 구름 속을 걷다 보니 조망은 없어 아쉬웠다. 태연이가 동료 교수와 함께 참여했다.

 

10:32     내계5. 비가 그쳐 나름 조망을 기대하며 오르다.

10:57     수망령(水望嶺). 정자, 월봉산 금원산 등산로 안내도, 이정표 (월봉산 3.0km, 금원산 2.2km). 나무 계단으로 오른다. 고도를 높이며 안개비가 내린다.

11:15     이정표(수망령 1.0km, 금원산 1.5km)

 

11:30     이정표(수망령 1.9km, 금원산 0.6km)

11:40     금원산(金猿山 1335m). 정상석. 이정표(지재미골 6.0km/1코스 7.4km) / (기백산 3.6km/2, 3, 4 코스),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북상면, 함양군 안의면 경계에 위치. 옛날 이 산속에 금빛나는 원숭이가 날뛰므로 한 도사가 바위 속에 가두었다는 전설에 따라 금원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며, 산중턱에 있는 그 바위를 금원암 또는 원암(猿巖)이라고 한다.

 

 

11:46     동봉(1349m). 돌탑 / 이정표(금원산 0.25km, 지재미 4.4km, 유한청 폭포(3코스) 3.2km, 유한청 폭포(2코스) 2.1km, 기백산 5.0km). 우측으로 내려간다.

 

11:49     안부. 정자 / 이정표(금원산 0.68km, 유한청폭포(2코스) 2.8km, 유한청폭포(3코스) 3.0km, 기백산 4.3km).

 

11:58     1287m. 비는 그쳤지만 구름 속을 거닐고 있으니 조망도 없다.

12:06     시멘트 포장 도로. 정자 / 이정표(수망령 1.2km, 금원산정상 1.6km, 기백산정상 2.4km).

 

12:15     1283m

12:19     이정표(사평입구 2.9km, 기백산정상 1.5km, 금원산정상 2.5km).

 

12:28     1279m봉은 우측으로 우회. 전망대.

12:40     책바위. 우측 아래 로프를 잡고 우회.

12:42     누룩덤. 봉우리의 바위들이 마치 누룩더미로 쌓은 여러 층의 탑처럼 생겼다 하여누룩덤이라고 한다.

12:44     기백산 (箕白山 1331m. 정상석, 돌탑과 삼각점(거창 21, 2002재설).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과 거창군 위천면에 위치. 기백산 조망 안내판. 날씨가 좋으면 황석산, 거망산, 함양 백운산, 할미봉, 월봉산, 남덕유산, 팔공산, 성수산, 선각산, 운장산, 황매산 등이 조망 되는 곳인데 아쉽다.

 

12:52     이정표(금원산휴양림 4.65km, 유한청폭포 5.75km, 기백산 0.2km, 금원산 5km).

12:53     이정표(기백산 300m, 하산길 4.8km, 고학마을). 독도 주의 지점. 좌측으로 희미한 길을 찾아 내려 간다.

13:11     이정표(금곡 6.1km, 기백산 1.3km, 상촌 3.4km/바래기재 6.3km). 1067m봉은 오르지 않고 우측으로 우회한다.

 

 

13:15     기맥 능선에 붙었다가 역으로 1067m봉을 찍으러 올라 간다.

13:19     1067m (안봉). 오두봉(烏頭峰. 957m) 갈림봉. 아무런 표식도 특징도 없다.

13:24     이정표(기백산 1.8km, 상촌 2.9km, 바래기재 5.8km)

13:31     980m.

13:36     늘밭고개. 이정표(기백산 2.4km, 바래기재 5.2km)

13:45     872.2m. 삼각점 미확인.

13:51     이정표(기백산 4.1km, 상촌 2.2km, 바래기재 3.5km)

13:52     819m / 삼각점 (거창 432, 2011재설). 헬리포트.

14:11     619m. 함양 쪽으로 구름이 걷히고 황석산, 거망산 등 조망.

 

14:20     상비고개. 이정표(바래기재 1.6km, 기백산 6.3km, 상비마을 1.4km, 고신마을 1.8km). 나무계단을 설치해 놨다.

 

14:27     580.7m(월암산?) / 삼각점(거창 407, 1981재설). 산명은 누가 어떻게 작명하는지

14:31     이정표(상비고개 0.6km, 바래기재 1.0km)

14:39     이정표(상비고개 1.2km, 바래기재 0.4km)

14:45     바래기재 (24번 국도) / 기백산 망실봉 등산로 안내도. 암소 한마리 식당. 함양군 안의면과 거창군 마리면 경계. 차가 없어 김 부장과 통화 후에 우측으로 도로 따라 내려 간다.

14:51     삼산마을. 거함대로 고가 밑.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16:02     간단히 뒤풀이 후에 출발

19:05     복정 도착.

 

 

 

 

12구간: 월성리 내계 – 3.2 - 수망령(900m) - 1.3 - 거망산 갈릴봉 - 1.7 - 월봉산(1279.2m) - 1.3 -1099m - 1.2 – 수리덤(칼날봉) – 1.2 - 남령(900m) – 2.6 - 하봉(1363m) – 0.3 – 영각재 – 0.7 - 남덕유산(1507.4m) – 0.7 – 영각재 – 3.3 - 영각사 주차장

산행거리 17.4km            산행시간: 7시간 6

 

 

2014 2 15            날씨: 맑음

국립공원 봄철 산불방지 입산통제 구간을 피해 순서를 바꿔 마지먁 구간을 먼저 산행하다. 간만의 눈 산행에 몸에 힘이 들어 가다 보니 근육경련에 힘들었다. 예상 시간도 보기 좋게 빗나갔고 자연의 경외감을 다시금 느끼고 하산점을 황점에서 영각사로 바꾸다. 조망은 일망무제로 가슴까지 탁 트인 멋진 산행이었다.

 

10:24     월성리 내계. 1차선 포장도로지만 아직 눈이 남아 있어 더 이상 버스로 진입은 포기하고 걸어서 수망령으로 오르다.

10:37     내계5. 우측으로 월봉산과 가야 할 능선 조망.

11:02     수망령(水望嶺). 정자, 월봉산 금원산 등산로 안내도, 이정표 (월봉산 3.0km, 금원산 2.2km). 나무 계단으로 오른다.

 

11:35     거망산 갈림봉( 1150m). 거창군과 함양군에서 세운 두 개의 이정표 (거망산 4.85km, 수망령 1.32km, 월봉산 1.72km). 기백산, 금원산, 월봉산 보임. 우측으로 내려 간다.

 

11:42.    큰목재( 1050m). 역시 두 개의 이정표(수망령 1.7km, 월봉산 1.3km, 노상마을 2.6km). 서쪽으로 괘관산(1,251m), 백운산(1,278m), 장수 장안산(1,237m) 등 조망. 아이젠을 착용.

12:07     1275m / 헬리포트. 이정표(월봉산 0.3km, 대로마을 5.4km, 수망령(노상마을)). 금원산, 기백산, 거망산, 황석산, 괘관산, 백운산, 장안산 등 보임.

12:14     월봉산(月峰山.1279.2m). 정상석 / 삼각점(함양 305). 이정표(남령 3.6km, 수망령 3.0km). 사방으로 조망이 트이고, 금원산, 황석산, 거망산, 괘관산, 백운산, 남덕유산, 향적봉, 수리덤 등 조망.

 

 

 

 

 

 

 

12:24     1234m. 이정표(월봉산 정상 0.5km, 남령 3.1km). 암릉구간과 수리덤이 내려다 보이고 남덕유산이 높게 올려다 보임.

12:37     이정표(월봉산 0.8km 남령 2.8km). 좌측으로 백운산부터 할미봉, 남덕유까지 백두 대간이 시원하게 조망.

12:43     암릉구간. 수리덤, 남덕유, 할미봉이 보임. 까다로운 구간임.

 

 

 

12:52     X1099m. 월봉산과 내려온 능선이 뒤 돌아 보임.

12:57     이정표(월봉산 1.5km 남령 2.1km).

13:10     이정표(월봉산 2.1km 남령 1.5km). 수리덤과 남덕유산이 보이고, 본격적인 암릉구간이다.

13:24     수리덤(칼날봉 1167m). 이정표(월봉산 2.5km, 남령 1.1km, 칼날봉 100m). 수리덤(칼날봉)을 다녀 오려고 올라 보나 암릉에 눈이 있어 포기. 소나무에 칼날봉 표지기.

 

13:27     수리덤(칼날봉 1167m). 이정표(월봉산 2.2km, 남령재 1.2km, 칼날봉 100m). 갈림길로 다시 돌아와 잠시 쉬었다가 우측 아래로 길게 우회.

13:39     우회하여 주 능선 복귀. 커다란 공처럼 생긴 바위가 있고 좀 더 가면 수리덤이 마테호른 처럼 보인다.

 

 

13:43     1130m(지형도상 칼봉). 남령길과 남덕유산으로 이어 지는 진양기맥, 할미봉, 남덕유산, 무룡산으로 이어 지는 백두대간 조망.

13:48     이정표(월봉산 3.0km 남령 0.6km).

14:03     남령 / 37 2차선 포장도로. 경남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와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경계. 이정표(월봉산 3.6km), 거창군 관광 안내도, 월봉산 등산 안내도.

 

14:08     묘지. 수리덤 조망.

14:17     1013.3m. 삼각점(함양 421) / 헬리포트. 전망대. 하봉, 수리덤, 금원산, 백운산, 할미봉, 장안산, 팔공산 조망.

14:48     1200m. 잠시 휴식. 하봉을 오르는데 무릎에 쥐가 나기 시작한다.

15:29     하봉(下峰 1363m). 이정표 (중봉 1km, 상봉 2km, 우문 700m, 남령(거창 경계) 2.0km). 낡은 안내판(상봉 2km. 남령 2km). 우측으로 꺾어 오르면 정상. 남덕유산 조망.

15:36     영각재. 이동통신 중계탑 / 이정표 (남덕유산 0.9km, 영각공원지킴터 2.5km). 탐방로 아님 표지판. 김부장에게 하산점을 황점에서 영각사로 변경을 알려 주고 남덕유산으로 오른다.

 

15:54     중봉으로 오르는 철계단.

 

15:59     중봉에서 내려 서니 돌탑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16:09     남덕유산 (1,507.4m) / 정상석 및 삼각점(무주 319). 이정표(향적봉 15km, 영각사 매표소 3.4km). 대룡산, 향적봉 등 배두대간과 금원산, 기맥산, 월봉산 등 진양 기맥 능선 조망,

 

 

 

16:32     영각재. 이동통신 중계탑 / 이정표 (남덕유산 0.9km, 영각공원지킴터 2.5km).

16:54     이정표(영각공원지킴터 1.5km, 남덕유산 1.9km)

17:18     영각공원 지킴터.

17:30     주차장. 다들 힘들었는지 중간에 탈출한 사람이 많다. 식사를 하고 후미를 기다리다.

18:45     후미를 영각사 앞에서 태우고 출발.

21:27     복정 도착.